천에 대한 가계도
땀끼 시 땀타인 사찰 호아하 마을에 있는 딘 씨족 사원에는 씨족이 "팔면천"이라고 부르는 손으로 짠 흰색 천에 쓰여진 족보가 아직도 보존되어 있습니다.
폭이 약 1.2m, 길이가 약 3.6m인 이 천 조각에는 세대에 대한 세부 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딘 씨족 구성원과 그들의 배우자, 후손의 이름, 각 세대별 거주지, 매장지, 사망 기념일도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위에 나열된 모든 세부 사항은 수직 다이어그램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는 고대 유교의 긴 책에 쓰인 글쓰기 스타일과 똑같습니다. 가계도를 만든 사람은 동시대에 살았던 친척에 대한 마지막 부분을 쓸 때 "sinh chu - tu mac"(살아있는 사람은 붉은 잉크로 쓰고, 죽은 사람은 검은 잉크로 쓴다)의 규칙을 따랐습니다.
위의 직물 족보에 있는 아름다운 중국 서예는 땀끼 현 하동 군 푸꾸이 사의 호아탄 마을에 사는 딘 씨족의 13대손인 딘 반 통 씨의 것입니다.
통 씨는 1871년에 태어나 20세기 초 유교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땀끼 남쪽 해안 지역의 저명한 교사였습니다. 유교 과거 제도가 폐지되자 당시 정부는 그를 땀끼 지역의 프랑스-베트남 초등학교에서 중국어 교사로 초빙했습니다. 그 이후로 많은 부모들이 그를 "투딘 선생님"이라고 애정을 담아 불렀습니다.
천에 적힌 이 특별한 계보를 통해 우리는 호아타인 마을(현재의 땀타인 사단)의 딘 씨족 조상이 원래 닌빈 출신으로, 남부 디엔반 현의 해안 지역에 정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후, 후손들은 탕빈의 해안 지역으로 이주했고, 12대 후손들은 하동현 땀끼의 해안 지역인 호아탄 사에 정착했습니다.
돌에 새겨진 족보
현재 누이타인 구, 땀쑤언 1 사, 빅안 마을에 있는 쩐 씨족 사원에는 높이 1.2m, 너비 1m의 석비가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 비석의 앞면에는 약 600개의 다양한 크기의 한자로 구성된 24개의 수직선이 새겨져 있습니다. 비석의 이마에는 "Tran Dai Lang Tu So Xuat"(대략 번역: Tran 가문에서 내려옴)이라는 글자가 가로로 크게 새겨져 있습니다.
가장 큰 글자 크기는 비석이 세워진 시기에 대한 줄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황찌에우 투득 탑녓니엔, 탓응옛, 트엉호안, 캇녓"(이 비석은 1858년 7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좋은 날에 세워졌습니다. 투득 왕의 통치 11년).
중간 크기의 글씨는 Tran Dai Lang 씨부터 Tran Ngoc Suy 씨(비석에 이름이 적힌 사람)까지 8대의 후손을 기록합니다.
이름과 세대에 대한 주요 내용과 함께 매장지, 사망 기념일 및 중요한 가족 구성원에 대한 기타 세부 정보에 대한 작은 각주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홍남 왕자(훗날 투득 왕)의 스승이었던 쩐 훙 누옹(6대) 선생도 있었습니다.
특히 가계도를 나타내는 줄 옆에 끝 부분에 "하동현 부장관 방탕투하 이즈엉 트리푸숭노이꾸엉쭈딱랑응우옌둑퐁두엣"(번역: 이 비석의 내용은 현재 하이즈엉성에서 트리푸의 직함을 맡고 있으며, 왕실 내각에서 쭈딱이라는 직함을 맡고 있는 방응우옌둑 부장관이 초안을 작성하고 검토함)이라고 적힌 줄이 있습니다.
고대 관습에 따르면, 중요한 민속 문서, 특히 비문이 당대 학자에게 승인되면 가문에 영광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러 언어로 쓰인 두 개의 족보
레 씨족의 조상인 레 떠이 쭈의 무덤은 하동 구 푸꾸이 사의 푸흥 마을(현재는 누이탄 구 땀쑤언 1 사의 푸빈 마을)의 옛 조상이며, 레 씨족의 조상들이 땀끼 강 합류 지점 남쪽 땅으로 와서 직장을 구하러 북쪽에서 왔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특별한 점은 이 비문이 3층 탑의 수직 표면에 중국어, 프랑스어, 라틴어의 세 가지 언어로 쓰여 있다는 것입니다. 위에는 중국어 문자, 아래에는 프랑스어 문자, 아래에는 Quoc Ngu 문자가 쓰여 있습니다.
비문을 통해 우리는 푸흥 마을의 레 씨족 조상이 원래 응에안성의 탄푸 해안 지역 출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중국어판에는 이 이주에 대해 "홍득 왕조 시대에 참파의 식민 통치 이후, 꼬또족과 녓더또족은 원정에 남아 응우옌족, 쩐족, 도족과 연합하여 공유지와 사유지를 되찾고 영토를 성공적으로 건설하여 떤크엉(Tan Khuong)이라는 코뮌을 세웠다. 친호아(Chinh Hoa) 시대에는 푸크엉(Phu Khuong)으로 바뀌었다가 나중에 푸흥(Phu Hung)으로 바뀌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당 족보 구절은 국어판에서 다음과 같이 번역되었습니다. "홍득 왕조 시대에, 참파 땅을 차지하라는 조정의 명령에 따라 우리 조상들과 우리 씨족의 시조는 전투에 참여하여 응우옌, 쩐, 도 씨족과 함께 공유지와 사유지를 되찾기 위해 머물렀습니다. 마을 경계를 정한 후, 그들은 마을 이름을 정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땀끼현, 득호아사, 빅응오 마을의 응우옌 조상의 묘비(현재는 누이타인, 땀쑤언 1사, 고트라우 묘지)에도 중국어, 놈어, 라틴어 등 3개 언어로 새겨진 족보가 있습니다.
이 족보에는 씨족의 조상이 탐키 강 남쪽으로 이동하여 까이봉과 까이봉이라는 두 마을을 건설한 이야기가 나와 있습니다. 나중에, 까이봉은 이름을 빅응오로 바꾸었고, 까이봉 마을은 봉미에우라는 별도의 마을로 분리되었습니다.
이 세 글자 족보의 마지막에는 8줄, 7단어로 된 시가 새겨져 있는데, 처음 네 줄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광남딘으로 이사한 후로/ 나는 태어나서 오늘 여기에 살게 되었습니다/ 나는 내 아이들을 위해 밭을 경작하고/ 신을 숭배하고 공동 주택을 짓기로 계획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angnam.vn/nhung-ban-pha-ky-dac-biet-o-tam-ky-xua-3146921.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