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는 이 정보가 글로벌 금융 메시징 서비스인 SWIFT가 수집한 최신 거래 데이터에서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보고서는 2023년 11월 거래에서 위안화의 비중이 같은 해 10월 3.60%에서 4.61%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3.91%에서 3.41%로 하락한 일본 엔화의 비중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11월 인민폐 결제액은 10월 대비 34.87%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전년 대비 런민비의 글로벌 점유율은 거의 두 배로 증가했습니다. 2022년 11월 기준 중국 위안화는 전체 거래의 2.37%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다른 주요 세계 통화의 점유율은 2023년 11월에 감소했으며, 미국 달러의 점유율은 10월 47.25%에서 47.08%로 떨어졌습니다. 유로의 점유율은 23.36%에서 22.95%로 떨어졌고, 파운드는 7.33%에서 7.15%로 떨어졌습니다.
SWIFT 보고서는 국경 간 거래에서 위안화의 비중이 커지는 것은 중국이 달러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베이징이 위안화 사용을 촉진하려는 노력을 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중국이 러시아, 중동, 남미와의 무역에서 미국 달러가 아닌 다른 통화로의 지불을 장려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다이이치생명종합연구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토루 니시하마는 "다른 신흥국들도 러시아 원유를 수입할 때 위안화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러시아 사업가 올렉 데리파스카는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인해 중국 위안화 사용이 늘어났다고 말했습니다. 불과 4년 안에 인민폐로 결제되는 국경 간 무역 규모가 유로화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러시아에 제재가 부과된 이후, 러시아와 무역 파트너들은 서방 금융 시스템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여 달러와 유로를 중국 위안, 인도 루피, UAE 디람 등의 현지 통화로 대체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