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포병부대는 적의 진지를 향해 계속해서 포격을 가했다. 포병의 공격을 받은 적의 위치는 불타고 있습니다. (사진: VNA)
"콘도르"라는 코드명의 작전 계획은 두 번째로 연기되었습니다. 콘히는 디엔비엔푸 기지가 보급에 우선권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를 밝혔고, 북부 델타의 군사 상황도 매우 어려웠으며 3개의 낙하산 대대를 더 파견해야 했다는 사실도 언급했습니다. 4월 15일부터 디엔비엔푸를 지원하는 공군 작전의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 가능한 모든 수단이 고갈되어 '코도르' 작전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공동전장에서: 1954년 4월 15일, 하이즈엉에서 킨몬 지구의 923중대가 추아항 진지를 공격하여 적군 35명을 파괴하고 포로로 잡았습니다.[ 1 ]디엔비엔푸 요새의 지도. 출처: Erwan Bergot, Dien Bien Phu: 170 Days and Nights of Siege, Le Kim 번역, CAND Publishing House 및 Phuong Nam Cultural Company, 하노이, 2003
참호를 파는 것은 우리 군대가 포위 공격을 강화하고 적을 기습적이고 빠르게 공격하는 비결 중 하나입니다. 참호 파기에 대한 이야기는 쩐 도(Tran Do)가 편집한 인민군 출판사에서 발행한 책 "디엔비엔푸 승리 연대기"에 실려 있습니다. “1954년 4월 15일 밤, 담하연대 군인들이 괭이와 삽을 들고 공항에 들어갔습니다. 방 중대장은 정보부대원들을 매우 넓은 참호로 인도했습니다. 이 참호는 공항을 따라 있는 배수로였으며, 적군의 부대 기동을 위한 참호이기도 했습니다. 다음날 아침, 이른 아침 안개가 걷힌 후에야 적군은 우리가 저지른 일을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참호는 네 번째 울타리까지 파여 있었습니다. 그들은 전장을 탈환하기 위해 전차와 보병을 보냈지만 우리 수비군은 그들을 밀어냈습니다. 싸움은 하루 종일 계속되었습니다.
그날 밤, 적군은 네 번째 울타리에 있는 우리 참호를 향해 맹렬히 총격을 가했습니다. 전장을 파기하러 간 군인들은 여러 차례 사상자를 냈다. 부대대 사령관 응우옌 반 투안은 온갖 방법을 동원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참호를 계속 진군시켰습니다. 그는 단호하게 병력을 깊숙이 투입한 뒤, 다시 그곳에서 파냈다. 적군이 이를 발견했을 때, 아군 참호는 공항을 따라 있는 적의 참호와 연결되었고, 담하 군인들은 적군 비행기 2대의 잔해 뒤편, 서쪽에 우뚝 솟은 아군 병사들의 그림자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전선의 전투 지도에 새로운 장소가 나타났습니다. 바로 담하 교차로입니다. 담하 교차로는 일일 전투 보고서에 여러 번 언급되었습니다. 그곳은 공항에 있는 적의 참호를 파기 위해 담하부대가 참호를 파던 곳이다. 우리와 적군은 이 교차로에서 치열하게 싸우고 있습니다. 적군 입장에서 이 교차로를 잃는 것은 공항이 차단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이 교차로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공항을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난단.vn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