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기본권 기구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6%가 반유대주의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4%가 자국 내 반유대주의를 "매우 큰" 또는 "꽤 큰" 문제로 여겼고, 정부가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8% 미만이었습니다.
이 조사는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16세 이상 유대인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10월 7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이 일어나기 전이었습니다. 비엔나에 본부를 둔 이 기관은 12개 유대인 단체의 데이터도 수집합니다. 이들 조직 중 일부는 2023년 10월 이후 반유대주의 공격이 400%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지난 11월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시위가 진행되는 동안 시위대가 프랑스 국회를 지나 행진하고 있다. 사진: 앙투안 교리
"유럽은 중동 분쟁으로 인해 반유대주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대인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심각하게 제한합니다. 우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모든 형태의 증오로부터 우리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기존의 법과 전략을 더욱 발전시켜야 합니다."라고 해당 기관의 시르파 라우티오 소장은 말했습니다.
5명 중 4명(80%)이 자국에서 지난 5년 동안 반유대주의가 증가했다고 해당 기관에 말했고, 반유대주의를 경험한 응답자의 64%는 "항상" 반유대주의를 경험했다고 말했습니다. 10명 중 9명 이상이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상의 반유대주의를 "매우 큰" 문제라고 묘사합니다.
10명 중 6명은 가족의 안전이 걱정된다고 답했고, 비슷한 수(62%)의 응답자는 아랍-이스라엘 갈등이 안전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습니다.
이 조사는 EU 유대인 인구의 96%가 거주하는 프랑스, 독일, 폴란드, 스페인 등 13개 EU 국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유럽에서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가 있는 프랑스에서 제라르 다르마냉 내무부 장관은 작년에 10월 7일 공격 이후 첫 달에 반유대주의 행위가 1,000건이나 보고되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10월 7일 이후 독일에서는 반유대주의 폭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독일의 반유대주의 위원은 이로 인해 독일이 "최악의 시기로 되돌아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EU 기관은 회원국에 학교, 유대교 회당, 지역 센터 등 유대인 사회의 보안 요구에 자금을 지원하도록 촉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기관은 인터넷을 규제하는 EU의 법률인 디지털 서비스법을 최대한 활용해 온라인에서 반유대주의적 콘텐츠를 제거하고 반유대주의적 증오 범죄에 대한 기소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Ngoc Anh (가디언에 따르면)
[광고_2]
출처: https://www.congluan.vn/lan-song-bai-do-thai-dang-lan-rong-o-chau-au-post303074.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