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6일, 우크라이나는 수도 키예프를 표적으로 한 공습을 계속 발표했고, 모스크바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집권하는 한 러시아는 이 동유럽 국가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수도 키예프를 표적으로 한 야간 공습이 여러 차례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 |
우크라이나 군 관계자는 5월 25일 밤과 5월 26일 이른 아침, 러시아군이 키예프를 표적으로 여러 차례 공습을 실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격은 5월 초 이후 13번째 공격이다.
키예프 군사 기관은 "예비 정보에 따르면 키예프 상공의 모든 적 목표물이 탐지되어 파괴되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참모본부는 매일 아침 회의를 열고 5월 25일에 드론 공격 36건과 미사일 공격 4건을 포함해 총 55건의 공습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S-300 미사일이 도네츠크 지역 카를리우카 지역의 댐을 공격해 주변 지역에 홍수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한편, 5월 26일 러시아 통신은 러시아 안보 위원회 부의장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의 말을 인용해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이전할 경우 모스크바는 선제 공격을 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전 러시아 대통령은 현재 상황에서 서방이 키예프에 전투기를 이전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핵무기까지도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러시아 전 총리 이기도 한 메드베데프 씨는 "모든 갈등은 항상 협상으로 끝나며 이는 불가피한 일이지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씨가 우크라이나에서 집권하는 한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사건으로, 5월 25일 러시아 외무부 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크라이나 갈등에 대한 평화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주교회의 의장인 마테오 주피 추기경을 모스크바로 파견할 계획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우리는 교황청이 평화 과정을 촉진하고자 진심으로 바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지만, 바티칸이 아직 마테오 주피 추기경의 모스크바 방문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해당 통신은 또한 "우크라이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진지하고 공개적인 대화를 원하는 러시아와 달리, 키예프 당국은 여전히 모스크바와의 협상 가능성을 확고히 거부하고 갈등에 베팅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