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보건 복지부 2차관은 2월 21일,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정부의 반대 시위가 격화되는 가운데, 현재 8,800명이 넘는 수련의(전체 의료 인력의 71%)가 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은 한국의 의사 수가 적고 인구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의사들은 이것이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와 의대에서 제공하는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국 의료인턴들, 새 정부 계획에 반발해 파업
시위 운동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의사들이 주로 두려워하는 것은 의사 수의 증가로 인해 자신의 급여와 사회적 지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정부 정책은 한국 국민, 특히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외딴 지역의 국민으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박 차관에 따르면, 2월 21일에는 7,813명의 수련의가 출근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파업 첫날인 2월 19일보다 약 5배나 많은 수치입니다. 정부가 이들 중 다수에게 병원 복귀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2월 21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AFP는 박 위원장의 말을 인용해 "의료계의 근본적인 사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며, 이를 위협하는 어떠한 집단적 행동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의사들의 파업은 한국의 법률 위반이라고 말했다 . 의료진은 "정당한 이유 없이" 복귀 명령을 거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박 씨는 한국의 종합병원들이 응급실과 수술실에서 수련의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파업으로 인해 암 환자와 제왕절개 수술을 받아야 하는 여성들이 수술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구에 사는 50대 뇌암 환자 홍재련 씨는 암이 폐와 간으로 전이됐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 때문에 항암치료가 확실한 날짜 없이 연기됐다고 말했습니다.
"말도 안 됩니다. 정부와 의사들 사이에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데, 무력한 환자들이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배신감만 느껴집니다." AFP 통신은 홍 씨의 말을 인용했습니다.
암과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 등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끔찍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매 순간, 매 순간 절박합니다. 중증 환자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병원을 떠난 수련의들이 가능한 한 빨리 의료 현장으로 복귀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라고 그들은 AFP에 보낸 성명에서 밝혔습니다.
2월 21일, 경기도에서 진료하는 의사들이 서울 도심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들은 "(우리는) 의대 입학 확대에 강력히 반대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붉은 머리띠를 착용했습니다.
젊은 의사들은 의료진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혁이 이미 열악한 근무 조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직업에 마지막 수단이라고 말한다.
대한인턴의협회는 성명을 통해 "주당 80시간 이상 일하고 최저임금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련의들은 지금까지 정부로부터 버림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들은 한국의 현행 의료 시스템에서 수련의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불합리하고 불공평하며, 정부가 그들을 "범죄자"로 취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