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군 군인들이 개성 근처의 비무장지대 내 공동경비구역(JSA)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사진 보관소
2018년 9월 19일에 두 개의 남북한이 서명한 CMA는 두 남과 북 사이의 모든 적대적인 군사 활동을 중단하고, 해상 완충 지대를 설정하고,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의 땅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거래는 2023년 말에 일부 취소되었습니다.
청와대는 "이번 회의에서는 남북한 간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CMA의 효력을 전면 정지하는 안을 제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이에 앞서 북한은 지난 6월 2일 남한으로 폐지가 담긴 풍선을 국경 너머로 보내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은 또한 남한으로부터 계속해서 전단을 받을 경우 계속해서 풍선을 발사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북한과 남한은 아직도 기술적으로는 전쟁 중이다. 1953년 한반도 갈등은 평화 조약이 아닌 휴전 협정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동안 북한은 남한이 활동가들이 국경 너머로 풍선 전단지를 뿌리는 것을 막지 못했다며 거듭 비난해 왔습니다.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