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은 통제되지 않으면 언제나 부패할 경향이 있고, 부패와 부정성은 권력의 본질적인 결함이기 때문입니다. 권력 부패의 근본 원인은 개인주의입니다. 개인주의는 정치적 이념, 도덕성, 생활 방식의 저하로 이어진다. 그것이 부패의 원인입니다. 그러므로 권위와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권력을 통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확립하고, "권력을 메커니즘의 우리 속에 가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레민카이 부총리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권력을 통제하기 위해 레민카이 부총리는 네 가지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국가 권력을 행사하는 메커니즘을 완벽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검사, 시험, 기소, 수사 및 재판 기관의 혁신을 지속하고 역량과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직무권한을 가진 사람들의 집행에 대한 감독과 통제를 강화하고, 민주중앙집권제, 공개성, 투명성, 책임성, 책임론의 메커니즘을 구현합니다. 통제 메커니즘 간의 긴밀한 조정.

권력에 대한 통제력이 없으면 권력은 쉽게 부패할 수 있다. 정말 그렇죠. 그러나 현재의 맥락에서 권력의 타락은 단순히 권력을 남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국민의 일, 기업의 일, 국가의 일, 당의 일에 대한 무관심과 무관심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회 토론회와 언론 토론회, 책임 회피, 책임 회피, 책임에 대한 두려움 등 다양한 이름으로 사회 토론회에서 많이 언급된 사항입니다.

최근의 현실은 "회피하고, 밀어내고, 두려워하는" 권력 타락의 결과가 권력을 남용하여 부패와 부정을 저지르는 것보다 덜 끔찍하고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근에 "회피하고, 밀어내고, 두려워하는" 상황이 왜 이토록 만연하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우리가 '싸움'에만 너무 치중하고 '건설'이라는 과업을 소홀히 하기 때문인 듯합니다. 우리는 어디서나 부패와 부정성에 반대하는 구호를 듣지만, 훌륭한 장소와 창의적인 공무원을 기리고 보상하는 것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습니다. 공공 투자는 그렇게 부진하지만, 매우 좋은 성과를 내는 곳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메시지를 잘 전파한 곳을 어떻게 기리고 보상해야 할까요? 아니면 비판과 리뷰, 그리고 혹평만 받을까요?

"건설"과 "싸움"은 함께 가야 합니다. "싸움" 없이 "건설"하는 데 너무 바쁘거나, "건설" 없이 "싸움"하는 데 너무 바쁘다는 것도 모두 해롭습니다. 그러므로 부패와 부정적인 행동에 단호히 맞서 싸우는 것 외에도, 좋은 모델과 좋은 관행을 기리고 보상하는 적절한 방법도 필요합니다. 명예와 보상은 실질적이어야 하며, 물질적 보상은 정신적 보상에 걸맞아야 합니다.

이와 함께 간부, 공무원, 일반 국민 등이 받는 월급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근무시간과 근속연수에 따른 임금뿐 아니라, 업무 성과에 따른 임금도 있어야 합니다. 급여 인상은 성과급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하며, 현재의 평준화 방식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 부분을 매우 신속하게 인상해야 합니다.

위반자는 엄중히 처벌받습니다. 위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일하는 사람에게는 물질적 혜택과 승진 혜택 등 적절한 주의를 기울인다. 이것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면 권력의 부패는 제한될 것입니다!

이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