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금협회(WGC)는 금이 안전성, 유동성, 수익성의 특성으로 인해 국가적 준비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나라가 수년에 걸쳐 금 보유량을 늘려왔습니다.

특히, 중앙은행들은 꾸준히 금을 매수하는 속도를 높여왔습니다. 중앙은행은 현재 역사상 채굴된 금의 약 2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 중앙은행은 483톤의 금을 매수했는데, 이는 새로운 최고 기록입니다. 올해 상반기에 금을 가장 많이 구매한 나라는 터키로 45톤을 구매했고, 그 뒤를 이어 인도가 37톤을 구매했습니다.

요르단,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등의 다른 나라도 이 흐름에 동참했습니다. 신흥시장의 중앙은행들은 외환보유고 중 금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키토코(8).jpeg
국가들은 금 보유량을 늘린다. 사진: 키트코

중국은 원래 세계 최대의 금 매수국이었으나 최근 금 매입을 중단했습니다. 최근 중국인민은행(PBOC)은 일부 국내 은행에 금 수입에 대한 새로운 할당량을 발행했습니다. 중국의 수요가 다시 증가하면 금 가격은 계속 상승할 수 있습니다.

7월 말 현재 중국 인민은행의 금 보유량은 7,280만 온스였습니다. WGC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에 중국 인민은행(PBOC)은 순매수량 723만 온스를 기록하며 세계 최대 금 매수국이 되었습니다.

WGC에 따르면,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내년에 공식적인 세계 금 보유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금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다른 중앙은행들도 금 보유량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WGC 추정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국가별 금 매장량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STT 국가 이름 금의 양(톤) 가치(백만 달러)
1 미국 8,133.46 609,527.85
2 3,351.53 251,166.13
3 이탈리아 2,451.84 183,742.52
4 프랑스 2,436.97 182,628.35
5 러시아 제국 2,335.85 175,050.59
6 중국 2,264.32 169,689.52
7 일본 845.97 63,397.87
8 인도 840.76 63,007.20
9 네덜란드 612.45 45,897.75
10 터키어 584.93 43,834.93

(FI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