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춘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 기업 순위(2024년 세계를 바꾸는 50대 기업)를 발표했는데, 비엣텔은 3위를 차지하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이 목록에 포함된 통신 회사입니다.
2008년 9월, Viettel과 교육훈련부는 공식적으로 교육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했습니다. - 사진: VGP/MT
포춘은 평가를 실시하면서 기후 변화, 불평등, 공중 보건 등 주요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데 있어 리더십을 발휘한 기업을 강조했습니다. Viettel은 베트남과 Viettel이 투자한 10개 해외 시장에서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영예를 얻었습니다. 특히, 학교 인터넷이라고도 불리는 교육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수년에 걸쳐 전통적인 방식의 학교 교육 및 운영 방식을 바꾸어 지식에 접근하는 새로운 무한한 방식을 열어주었습니다. 거의 20년 동안 Viettel이 교육 기관에 제공한 인터넷은 새롭고 낯선 것에서 교사와 학생의 일상 생활에 익숙하고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변화했습니다. Viettel은 1997년 11월 19일 베트남이 공식적으로 국제 인터넷에 접속한 지 2,500만 명에 달합니다. 그러나 1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온라인 접속"이라는 개념은 베트남, 특히 농촌, 오지, 빈곤 지역에서는 그다지 대중적이지 않습니다.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07년 기준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국가 전체 인구의 약 24%에 불과했습니다. 교육훈련부 정보통신부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초부터 2009년 초까지 전국의 27,500개 학교 중 17,000개 학교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 전체의 62%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에텔 그룹(당시 비에텔 군사 통신 회사)과 교육훈련부는 2008년 9월에 양해각서에 서명하여 교육망 연결을 공식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교육훈련부는 2008-2009학년도를 "정보기술 응용을 촉진하는 학년도"로 지정했습니다. 당시 Viettel의 임원진은 이것이 Viettel이 교육 부문에서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학교 시스템 간의 학습 및 연구 기회를 "평준화"하고, 현대적 교육 방법이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 사회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훌륭한 노력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로부터 불과 2년 후, Viettel은 처음 약속을 이행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트남은 교육 기관의 1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10년 SEAMEO-ASEAN 교육부 장관 기구 보고서에서 베트남은 교육 분야의 ICT 평가에서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과 동등한 수준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베트남은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와 함께 최하위 그룹에 속했습니다. 학교의 전송선을 광대역으로 업그레이드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접속 속도를 보장한다는 내용의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지난 16년 동안 Viettel은 송전선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많은 학교의 정보 기술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지원해 왔습니다. 여기에는 컴퓨터, 프린터,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 제공 등이 포함됩니다. 2024년까지 이 프로그램은 2,500만 명의 학생과 교사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베트남의 인터넷 접속률을 85%로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빠르고 안정적인 전송 속도로 인터넷은 10년 이상 베트남의 수백만 명의 학생과 교사에게 제공되었습니다. - 사진: VGP/MT
"군인의 심장"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나중에 Viettel은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학습과 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 대한 국제 투자를 확대했고, 학교 인터넷을 계속 확장했습니다. Viettel은 페루, 모잠비크, 부룬디, 라오스, 캄보디아 등의 국가에서 전국 학교에 무료 인터넷을 제공했으며, 각 국가별로 최대 수천억 VND의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예를 들어, Viettel은 아이티 정부와 협력하여 2021년부터 2025년까지 1,000개 이상의 학교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후 세계적으로 몇몇 대형 조직과 세계적인 이름들도 소외 계층에게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3년에 시작된 Google의 Loon 프로젝트, 2015년에 원격 지역에 인터넷을 보급한다는 목표로 시작된 Facebook의 Internet.org(Meta)가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2019년에 유엔 아동 기금(UNICEF)과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이 인터넷 연결이 없는 많은 국가의 학교를 돕기 위해 시작한 GIGA 이니셔티브가 있습니다. 비에텔은 사업 초기부터 이익이 전부는 아니며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여가 필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교육 부문에 인터넷을 통합하는 선구자적 역할을 하고 조기에 구현함으로써 올바른 비전을 입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실행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며 지금까지 지속하기 위해서는 많은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강력한 인프라를 보유한 통신 회사인 Viettel의 기반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비에텔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 끈기 있는 정신으로 두각을 나타냅니다. 전 교육훈련부 장관 응우옌 티엔 난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군인의 마음을 보여줍니다. 교육부(교육훈련부)가 군에 업무를 할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군은 어려움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군인들이 책임을 맡도록 하는 정신으로 정보 기술의 교육적 병목 현상, 즉 인프라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군인의 마음과 의지가 없었다면 전국 학교에 인터넷을 보급하는 데 훨씬 더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입니다." 출처: https://baochinhphu.vn/gan-2-thap-ky-ben-bi-lam-nen-chuong-trinh-thay-doi-the-gioi-cua-viettel-102241113145153938.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