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마이크론은 닛케이에 답변하면서 "생산 준비"를 위해 박장 에 있는 신규 공장으로 장비를 옮길 예정이며 고객 감사로 바쁘다고 밝혔습니다. 박장성에는 현재 애플 공급업체가 3곳 있습니다. 하나마이크론은 한국의 메모리 제조 및 칩 패키징 회사입니다.

9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했을 당시, 칩 산업이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두 나라의 공동성명에서는 전략적 협력 내용 중 하나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포함한 혁신을 꼽았습니다.

앰코(Amkor)와 마벨(Marvell)과 같은 미국 기업도 국내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며칠 후, 팜 민 찐 총리 도 미국에 있는 엔비디아와 시놉시스 시설을 방문했습니다.

박장성 하나마이크론비나(Hana Micron Vina Co., Ltd.) 공장. (사진: 박장성 포털)

하나마이크론의 인사담당자 황철민은 박장 프로젝트가 이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첨단기술 프로젝트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되고, 반도체 제조 생태계 발전의 기반이 마련될 것입니다.

최근 일련의 발표는 지정학적 어려움 속에서 공급망을 다각화하고자 하는 베트남과 글로벌 칩 제조업체 모두에게 힘을 실어줍니다.

박장성 포털에 따르면, 반중공업단지(박장성 비엣옌구)에 있는 하나마이크론 비나2 반도체 공장은 6헥타르가 넘는 규모에 총 투자 자본이 6억 달러에 달합니다.

회사는 2025년까지 총 투자를 10억 ​​달러 이상으로 늘리고, 예상 수익을 8억 달러로 늘리고, 4,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베트남-한국산업기술대학과 협력하여 인력 채용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하나마이크론은 박장 공장 외에도 박닌에도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정보 기술, 생산 계획, 현장 근로자 직책에 필요한 인력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박장성은 공장의 지속적인 생산을 보장하기 위해 전기, 물 등에 대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하나마이크론의 프로젝트 외에도, 이 지방은 또 다른 대만 반도체 공장이 준공되었으며 2024년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베트남을 동남아시아 반도체 산업 생태계와 연결"이라는 주제로 열린 베트남 비즈니스 서밋에서 기획투자부 장관 응우옌 치 중은 베트남이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개발할 수 있는 많은 잠재력과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 행사에서 정보통신부 차관 응우옌 후이 중은 2030년까지의 베트남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 초안과 2035년까지의 비전을 개발 중이며, 정보통신부와 기획투자부가 곧 이 전략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베트남이 지역 반도체 생태계에 참여하도록 가속화하고,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베트남에 와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에 대한 우대 제도와 국가 지원이 있을 것입니다.

(인조)

Vietnamne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