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GDP는 6.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이 감소하고 국내 소비가 약간 증가하면서 성장 기여도가 약간 변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HSBC은행 아시아태평양 경제연구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프레데릭 노이만 씨가 뱅킹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의견입니다.
기업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 경제를 지속적으로 재구조화하고, 성장 모델을 혁신하며, 개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합니다. |
미국, 유럽, 중국 시장(베트남의 주요 파트너)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제 동향과 전망을 어떻게 보시나요?
실제로 지난해에는 지정학적 긴장, 중동 갈등, 중국 부동산 시장의 지속적인 하락세, 그리고 어느 순간 미국에서 경기 침체 위험이 거론되기도 하는 등 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를 자세히 살펴보면, 실제로는 놀라울 정도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세계화의 위험과 관세 인상, 그리고 무역 보호주의에 대한 모든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세계 무역이 여전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운송해야 할 모든 상품을 운송할 만큼 충분한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 면에서 세계 경제가 사람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회복력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위험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작년에 세계 GDP는 약 2.7% 성장했습니다. 이는 올해 우리가 예측한 성장률이며, 내년에는 비슷한 비율(2.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 경제는 7월과 8월에 들어서도 하드 랜딩, 즉 임박한 경기 침체의 위험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다양한 지표를 살펴보면, 특히 비교적 안정적인 소비 지출을 살펴보면(소비 지출은 미국 경제 활동의 70%를 차지하며 현재 미국 경제와 무역,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원동력임) 미국 경제가 실제로는 경착륙의 위험에 직면해 있지는 않지만, 경기 침체는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올해 미국 GDP 성장률을 2.7%로 예상합니다.
유럽의 상황은 실제로 미국보다 약간 약하고 제조업은 이미 위축되고 있으며(제조업 PMI가 상당히 크게 위축되어 서비스 지수가 위축될 위험이 있음), 소매 판매 성장이 약하고(실질 인플레이션을 조정하면 실제로 감소하고 있음)... 이는 약세가 더 광범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우리는 올해 유로존 GDP 성장률을 0.7%로 예상합니다. 중국 경제의 경우, 대규모 경기 부양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특히 구조적 문제와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 등 몇 가지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우리는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을 4.9%로 예상합니다.
최근 HSBC는 2024년 베트남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7.0%로 대폭 상향 조정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예상 증가의 근거는 무엇입니까?
베트남의 2024년 GDP 성장률 전망치가 7.0%로 상향 조정된 것은 3분기 경제의 강력한 회복세를 강조한 것입니다. 3분기 GDP 성장률은 7.4%로, 당사 예측(6.2%로 예상)을 크게 웃돌았으며, 이는 주로 산업 생산과 수출의 긍정적인 성장에 기인합니다. 게다가 서비스 부문, 특히 금융과 부동산 부문의 회복을 보여주는 지표도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정부는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지원 대책을 신속하게 전개하여 경제 안정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9월 인플레이션 지수가 전년 대비 2.6%만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이 감소했고, 이를 통해 중앙은행은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현재의 통화 정책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2024년 더욱 강력한 성장을 위한 튼튼한 기반을 마련해 베트남이 ASEAN의 성장 주자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1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정책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그리고 이것이 베트남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저는 시장에서 연준이 연말까지 금리를 50베이시스포인트 더 인하할 것이라는 확신이 상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두 차례에 걸쳐 25베이시스포인트씩 인하할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기본 시나리오는 11월에 0.25% 금리 인하입니다. 하지만 연준이 선거에 너무 가까워지면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즉, 11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가능성).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12월에 50베이시스포인트를 인하한다면 그것은 단지 전술적 조정일 뿐입니다. 우리에게 더 큰 질문은 연준이 2025년에 얼마나 금리를 인하할 것인가입니다. 확실한 답은 없지만, 2개월 전만 해도 시장은 연준이 강력한 완화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향후 18개월 동안 12차례의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는 더 이상 정확하지 않습니다. 내년에는 연준이 조금 더 금리를 인하한 뒤 안정된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연준이 예상만큼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다면, 미국 경제가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베트남에 대한 영향은 국내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연준이 금리를 크게 인하하지 않는다면, VND를 포함한 다른 통화에 비해 USD가 강세를 보이는 추세가 지속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국립은행이 이자율을 추가로 인하할 수 있는 여지는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게다가 인플레이션 압박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정책 금리는 2025년 말까지 4.5%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신 생각에 앞으로 어떤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을 것 같나요?
우리는 연간 7% 성장을 예측했지만, 실제로는 4분기에 성장이 약간 둔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국내 수요를 포함한 요인 중 하나로 인해 성장률이 3분기와 동일하게 유지되어 전년 대비 7.4%에 이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소매 판매는 회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추세에 비해 낮습니다.
2024년의 긍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2025년 GDP 성장률은 6.5%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수출이 약간 감소하고 국내 수요가 약간 회복되면서 성장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국내 소비에 대한 역풍이 완화될 것으로 믿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시장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이 부동산 시장에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나면서 시장이 바닥을 쳤고 가장 어려운 조정 기간을 지났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이 아직 크게 성장하지는 않을지 몰라도, 적어도 안정화되면 국내 소비에 어느 정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입니다. 게다가, 인프라 사업의 시행을 촉진하는 것도 성장의 원동력입니다.
감사합니다!
[광고_2]
출처: https://thoibaonganhang.vn/chuyen-gia-hsbc-se-co-su-chuyen-dich-trong-dong-luc-tang-truong-15701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