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SI 사무총장이자 스웨덴 통신 회사 에릭슨의 전 부사장인 얀 엘스버거는 27개 회원국에서 5G 기술 구축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블록의 6G 표준화를 위한 준비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6G는 대대적인 혁명이 아니라 5G의 "순조로운 진화"라고 덧붙였다.
ETSI는 65개국에 950개 이상의 회원 기관을 두고 있으며, 모바일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글로벌 컨소시엄인 3GPPP 내에서 글로벌 통신 표준화를 주도하는 기관 중 하나로서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을 설정하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6G 사양이 준비되면 EU, 미국, 인도, 일본, 중국, 한국 등 모든 참여 지역에서 표준화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유럽 위원회가 6월에 발표한 '디지털 10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5G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는 달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U 관계자는 1월에 유럽에서 5G 구축이 계속해서 지연됨에 따라 인공지능 등 고속 인터넷에 의존하는 다른 기술의 도입도 지연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유럽 위원회가 6G 모바일 기술을 표준화해 달라고 요청한 것은 ETSI의 업무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 해당 기관은 또한 고위험 애플리케이션을 규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법의 제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 법안은 이번 달 초에 발효되었습니다.
엘스버거는 주제에 따라 표준이 개발되는 데 몇 개월에서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표준화는 산업의 자발적인 요구 사항입니다. 업계의 의지가 클수록 규칙 제정의 진전이 빨라질 것입니다."
(Yahoo Tech, Bloomberg에 따르면)
[광고2]
출처: https://vietnamnet.vn/chuan-hoa-5g-chua-nga-ngu-chau-au-da-tinh-xay-dung-tieu-chuan-cho-6g-2313890.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