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6일, Nguyen Trai 병원(HCMC)이 주최한 조기 소화기암 및 췌장담관 질환의 내시경 치료 업데이트에 관한 컨퍼런스에서 내과 부장인 Nguyen Duc Thong 전문의 2는 이 병원이 조기 소화기암 및 췌장담관 질환의 내시경 치료 사례 수가 10만 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위암 조기 발견율이 낮습니다.
그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회고적 보고서를 인용했는데, 호치민시에서 위암이 발생한 1,606건 중 단 4%만이 조기에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2013년에서 2018년 사이에 후에에서 실시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이 비율은 7.6%였습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위암 조기 발견율이 63%가 넘고, 일본은 70%가 넘습니다.
"이 문제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검진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베트남에는 국가 검진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환자는 주로 기회주의적으로 검진을 받습니다. "즉, 환자가 다른 질병이나 증상으로 의사를 만나러 올 때입니다. "라고 Thong 박사는 말했습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60년부터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1년에 한 번씩 위암 검진 프로그램(처음에는 위 조영제 엑스레이, 그다음에는 내시경)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에서는 위암 발병률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2~3년마다 위암 검진 프로그램을 조정하였습니다.
교토 미니렌 중앙병원(일본) 위장내과 및 내시경과장인 키노시타 코시 박사는 현재 일본에서는 HP 박테리아(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이 감소함에 따라 위암이 감소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리고 최근 몇 년 동안 일본에서 이 암의 발견과 치료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Thong 박사는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HP에 감염된 환자, 치료를 받았지만 심각한 위축성 위염, 심각한 장 질환을 앓은 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에서 위암을 선별하기 위한 내시경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의, 검사를 담당하는 의사, 임상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 간의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내시경 검사자의 경우 환자에게 내시경을 잡을 때의 책임과 의무에 유의해야 하며, 병변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내시경 기술을 사용해야 하며 내시경 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러한 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내시경 기술(ESD 등)을 위한 인적 자원과 공식적인 교육 과정이 필요하며, 현대 의료 장비에 대한 투자도 필요합니다.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에게 조기 암 검진의 이점을 알립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키노시타 코시 박사는 내시경 검사, 위장관 암 진단 및 검출에 대한 이론적 지도 외에도 Nguyen Trai 병원에서 조기에 위장관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직접 개입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습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응우옌짜이 병원 내시경과에서는 위, 대장,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 지혈술, 위루술, 이물질 제거 등 대부분의 위장관 내시경 시술을 시행해 왔습니다.
이 중 위내시경으로 진단하는 경우는 연간 10,000~20,000건, 대장내시경으로 진단하는 경우는 연간 4,000~4,500건입니다. 내시경술은 1년에 약 1,200건의 사례를 치료합니다. 위장관 출혈에 대한 내시경 검사와 관련하여, 병원에서는 지난 3년간 암으로 인한 출혈을 포함하여 약 560건의 사례를 시행했습니다.
2023년과 2024년에 병원에서는 ESD 기술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광고2]
출처: https://thanhnien.vn/can-lam-gi-de-giam-ty-le-nguoi-mac-ung-thu-da-day-185241016155325822.htm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