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텔레비전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개최되는 대회의 방송권을 소유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AFC와의 협정에는 25개 대회가 포함되는데, 특히 2026년 월드컵 3차 예선(대륙 최고 18개 팀 참가), 2027년 아시안컵, 2026년 여자 아시안컵, 2026년과 2028년 AFC U-23 챔피언십 결승전, 그리고 2개의 최고 클럽 토너먼트인 AFC 챔피언스리그와 AFC컵이 포함됩니다.
AFC 토너먼트는 점점 더 많은 베트남 시청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국내 클럽의 경기가 강력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월드컵 3차 예선에 참가한 유일한 동남아시아 국가대표팀인 베트남 국가대표팀의 최근 성과가 돋보입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K+는 국내 축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베트남 국가대표팀과 클럽을 중계하는 선호 TV 브랜드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5~2029년 베트남 국가대표팀 경기는 TV로 생중계됩니다.
아시아 축구는 클럽과 국가대표팀 수준에서 경쟁 조직 측면에서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AFC는 2024-2025 시즌부터 클럽 수준 토너먼트의 조직에 획기적인 변화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아시아 클럽의 놀이터는 3개 레벨로 재편될 예정이다. 레벨 1은 현재 가장 높은 토너먼트인 AFC 챔피언스리그에 해당하고, 레벨 2는 AFC컵에 해당하며, 레벨 3은 위의 2개 토너먼트에 참가할 자격이 없는 클럽 그룹을 위한 토너먼트입니다.
1레벨 토너먼트(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조별 리그에 24개 팀이 참가하며, 이 중 12개 팀은 동부에서, 12개 팀은 서부에서 참가합니다. 각 지역의 팀은 8경기(홈 4경기, 원정 4경기)를 치르고, 홈-원정 형식으로 녹아웃 라운드에 참가할 16개 팀을 선정합니다. 16강전에서 승리한 8팀이 경기장에서 열리는 결승전에 진출하게 됩니다. 마지막 라운드는 8강전, 준결승전, 결승으로 구성되며, 싱글 엘리미네이션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레벨 2 토너먼트(AFC컵)에는 조별 리그에 참가하는 32개 팀이 있으며, 레벨 1 토너먼트와 동일한 경쟁 형식이 적용됩니다.
레벨 3 토너먼트는 2024-2025 시즌부터 아시아 클럽 대회 시스템에 도입된 최신 토너먼트입니다. 이 대회에는 20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하여 5개 조로 나뉘는데, 그 중 3개 조는 서아시아, 2개 조는 동아시아에서 배정됩니다. 각 팀은 그룹별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쟁하여 8강전에 진출할 8개 팀을 선정한 후, 준결승전과 결승을 치릅니다. 8강전과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고, 결승전은 단판승부로 진행됩니다.
AFC 경기위원회는 2026년 월드컵 예선을 위해 아시아 지역 예선을 4단계로 나누어 최종 라운드에 진출할 8.5장의 티켓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1라운드에는 아시아 FIFA 랭킹 26위부터 47위까지의 팀이 참가합니다. 22개 팀이 11개 조로 나뉘어 경쟁을 벌인 후, 최종적으로 2라운드에 진출할 11개 팀을 선정했습니다.
2라운드에는 총 36개 팀이 참가하며, FIFA 아시아 랭킹 1위부터 25위까지의 25개 팀과 1차 예선을 통과한 11개 팀이 포함됩니다. 36개 팀이 9개 조로 동등하게 나뉘고,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홈 경기와 원정 경기를 치릅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총 18개 팀)이 3라운드에 진출합니다.
3라운드에 참가하는 18개 팀은 6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홈 경기와 원정 경기를 치릅니다. 각 조의 상위 6개 팀은 2026년 월드컵 결승전에 직접 진출합니다. 각 조의 3위와 4위 팀은 4차 예선(아시아 플레이오프라고도 함)에 진출합니다. 이 6개 팀은 각각 3개 팀으로 구성된 2개 그룹으로 나뉩니다. 각 조에서 우승한 두 팀은 2026년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얻고, 준우승한 두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놓고 경쟁하기 위해 지역 플레이오프를 치릅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