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6일, 열대병 병원에서 심각한 파상풍 환자를 보고했지만, 질병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환자는 LVS 환자(65세, 하이즈엉 거주 )이며,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신체에 상처나 긁힌 자국이 없습니다. 그러나 S씨는 입원 10일 전 인후통은 있었지만 열은 없었고, 급성 인두염 진단을 받고 외래 진료를 처방받았습니다.
LVS 씨는 파상풍으로 인해 응급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했으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사진: MT)
S씨는 약을 복용한지 6일 만에 입을 벌리기 어렵고, 말하기 어렵고, 식욕이 떨어지는 등 특이한 증상을 보였고, 가족들은 그를 병원에 데려갔습니다. 그는 의료기관 에서 파상풍 진단을 받고 열대병 중앙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열대병 중앙병원 응급실에서 환자의 초기 상태는 상당히 의식이 명료했고, 열도 없었고, 경련도 없었지만 입을 벌리는 능력이 제한되어 약 1cm 정도였습니다. 복부와 전신 근육 경련이 심한 환자는 전신 파상풍으로 진단해야 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현재 환자는 진정제를 투여받고 있으며 기관내 삽관을 통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석사 중앙열대병원 응급의학과 응우옌 탄 방 박사는 "S 환자의 경우 파상풍 포자가 침투할 수 있는 피부 상처나 외상 흔적이 없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상풍균은 피부의 열린 상처, 외상, 또는 수술을 통해 체내에 침투합니다. 그러나 환자가 침투 경로를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 파상풍은 잠복기가 길기 때문에 환자가 알아차리지 못한 채 이전 작업이나 일상생활에서 생긴 작은 긁힘으로 인해 파상풍 감염 위험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방 박사는 파상풍이 충치, 발치, 치주농양 등 구강 감염 후에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S 환자의 경우 구강에서 파상풍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더 생각해 보았습니다. 또한 드물지만 파상풍균은 내시경 검사 중 수술적 절개나 위, 직장, 항문에 생긴 작은 상처 등 장관의 손상이나 감염을 통해 침입할 수 있습니다.
방 박사는 "파상풍의 경우 의심스러운 징후(진행성 턱 경직, 근육 경직)를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의 심각한 발전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감염병 전문의들은 또한 다음과 같이 권고합니다. "농업, 육체노동, 그리고 지면과 자주 접촉하는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파상풍 예방 접종을 받고 작업 시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신체의 모든 상처는 아무리 작더라도 적절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깊고 더러운 상처는 의료기관에서 치료해야 하며, 열린 상처는 진흙에 노출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전반적인 구강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을 벌리기 어렵거나, 말하기 어렵거나, 먹기 어려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댓글 (0)